1. 크로스 브라우징
크로스 브라우징은 W3C에서 채택된 표준 웹 기술을 적용해 모든 브라우저에 다른 기종의 OS나 HTML 렌더링 기술로
비슷하게 만들어 어떤 환경에서도 이상없이 작동되게 하는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론이다.
쉽게 말하자면
익스플로러에서 이용할 수 있던 사이트가 크롬이나 오페라에서는 보이지않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
크로스브라우징을 이용하여 다양한 브라우저를 이용하더라도 사이트를 100%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말한다
2. 벤더 프리픽스 (접두어)
익스플로러, 크롬, 파이어폭스, 사파리, 오페라 등
웹 브라우저 공급 업체가 제공하는 실험적 기능을 사용할 때 쓰인다
즉 브라우저별 지원하는 속성이 다르므로 이를 따로 지정해 주어야한다
익스플로러 -ms-
크롬 -webkit-
파이어폭스 -moz-
사파리 -webkit-
오페라 -o-
ex) border 속성을 적용할 때
접두어가 들어가는 border 속성들을 위에 작성하고
접두어가 들어가지 않는 border 속성을 마지막에 작성한다
벤더 프리픽스를 쓰지 않고도 모든 CSS속성을 지원해주는 -prefix-free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편리하다
좋아요공감
공유하기
글 요소
구독하기
'IT 용어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와 제이쿼리. (0) | 2020.05.13 |
---|---|
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정의 (0) | 2020.05.13 |
웹 그리고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(0) | 2020.05.13 |
와이어 프레임과 스토리 보드 (0) | 2020.05.13 |
웹과 인터넷의 차이 (0) | 2020.05.13 |